조류독감으로 비춰 본 아프리카돼지열병 테마

  • 아프리카 돼지열병 테마주, 조류독감/구제역 등 유사한 가축 전염병 확산 시기와 비교해 향후 방향성 가늠해보기

지난 자료(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얼마나 날아갈 수 있을까?)에서 9월 17일 발병 확진된 가축 전염병 아프라카 돼지열병 관련주에 대해 다뤘다. 조금 더 디테일하게 유사한 가축 전염병인 조류독감, 구제역 사례를 통해 급등한 테마주의 향후 주가 방향성을 가늠해보자.

딥서치의 이벤트 분석 기능을 활용해 ‘조류독감 and 관련주’ 키워드로 뉴스 트렌드가 높아진 시기를 발라냈다. ‘관련주’ 키워드를 함께 검색하게 되면 조류독감 혹은 구제역 이벤트로 관련 테마주가 반응한 시기만을 골라낼 수 있다.(뉴스 기사에 조류독감과 관련주가 같이 등장한 시기를 뽑는다) 단순하게 ‘조류독감’ 키워드로만 뉴스를 검색할 경우 주식 시장에 파급력이 높았던 시기만을 선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위와 같은 방법을 택했다.

결론부터 언급하면 관련 테마주들은 조류독감, 구제역 확산 시기에 이벤트 발생 전 대비 10~15% 상승한 뒤 상승세가 유지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가축 전염병 이벤트 시기에 급등한 종목은 아프리카 돼지열병과 유사한 비료, 백신주였다.

지난 17일 발병 확진 이후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한 방역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며 관련 테마주의 주가 변동성이 확대됐다. 이글벳, 마니커 등의 관련주는 19일 급락, 20일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래 유사 사례 이벤트 분석 결과를 참고해 변동성의 파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투자자만 관련주에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제일 아래 차트를 통해 조류독감 전후 테마주의 주가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조류독감 이벤트 이후 상승, 하락을 거듭하던 주가는 이후 상황이 진정되며 상승분을 반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벤트 발생 7영업일 이후가 추가 7% 상승해 가장 수익률이 높은 시점이었다.

이벤트 분석 시기 정의 : ‘ 조류독감 ‘, ‘관련주’ 기사가 다수 등장한 시기

(1) 2013–04–05: 중국 조류독감 확산에 국내 시장도 영향
(2) 2014–01–20: 국내에서 약 3년만에 고병원성 조류독감 발생
(3) 2017–06–05: 제주도, 전북 군산 조류독감 발생

조류독감 이벤트 당일 수익률 상위 그룹(승자 그룹)
승자 그룹의 이벤트 전후 수익률 추이

마찬가지로 제일 아래 차트를 통해 구제역 전후 테마주의 주가 움직임을 살펴보자. 구제역 이벤트 이후 바로 급락세를 보이지 않았지만, 30영업일 이후-아마도 구제역 관련 이슈가 종결된 이후- 상승분을 반납하며 하락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분석 시기 정의 : ‘ 구제역‘, ‘관련주’ 기사가 다수 등장한 시기

(1) 2010–04–09: 인천 강화군 구제역 발생
(2) 2010–12–22: 안동에서 시작한 구제역 경기 포천까지 확산
(3) 2014–07–24: 경북 의성에서 구제역 발생. 돼지 600마리 살처분
(4) 2017–02–10: 구제역 위기경보 7년만에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
(5) 2019–01–29: 경기 안성 구제역 발생

구제역 이벤트 당일 수익률 상위 그룹(승자 그룹)
승자 그룹의 이벤트 전후 수익률 추이

본 보고서는 딥서치의 이벤트 분석 기능을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딥서치 기능을 활용해 보고 싶으신 분들 중 혹 이용권이 만료된 분들은
링크(클릭)를 통해 트라이얼 이용권을 신청해주시면
1주일 간 딥서치를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