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종목 투자 하기 전에 비슷한 산업 내 회사들이랑 비교를 해봐야 되는데
동종 산업 내 속해있는 회사는 뭐가 있지?’
‘저희 시장 조사하느라고 필요한건데, 경기도에 있는 의류 관련 회사들 좀
리스트업 해주실래요?‘
투자를 할 때는 물론이고, 회사에서도 일을 하다 보면 자주 마주치게 되는 문제 중 하나다. 여기서 효과적인 ‘동종 산업 내의 회사’ 분석을 위해 딥서치의 업그레이드된 산업 분석 페이지를 활용해보자.

너무나도 당연한 얘기지만 산업 분석을 위해서는 산업 체계를 정의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통계청에서 정의한 표준산업분류가 있고, 글로벌 기준으로는 S&P의 GICS 산업분류를 많이 사용한다. 기존에 딥서치에서 지원한 통계청 표준산업분류 외에 이번 업데이트로 딥서치 자체 산업분류, 기업집단, 주제, 사용자 정의 쿼리를 기준으로 산업분석을 할 수 있게 됐다.
- 딥서치 자체 산업분류
딥서치 자체 산업분류는 10개의 대분류와 32개의 중분류로 구분된다. 기존 통계청의 표준산업 분류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시장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체계로 정의했다. 특히 상장기업 뿐만 아니라 비상장 기업에도 같은 산업 분류 체계를 적용해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이 편리하다. 분석을 원하는 산업을 선택하면 바로 아래에서 관련 경제지표도 확인할 수 있다. 에너지 및 소재>정유 산업을 선택하면 두바이유, WTI유 등의 가격 추이가 나온다.

산업 개요에서 해당 산업의 전체 합산 매출, 자산, 종업원 수 등 다양한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맛에 맞게 아래 기업 목록에서 종목을 추가, 변경할 수 있다. KOSPI, KOSDAQ 및 비상장 기업 기준으로 체크하거나 매출액 및 당기 순이익 규모를 기준으로 종목을 추가할 수도 있다.
비상장 기업과 상장 기업을 동일한 분류 체계에서 손쉽게 비교해 볼 수 있는데, 정유 산업의 경우 아래 이미지처럼 상장사인 SK이노베이션, S-OIL과 비상장사인 지에스칼텍스, 현대오일뱅크를 비교분석해서 볼 수 있다. 각 기업들의 매출액, 자산, 시가총액 등의 데이터 현황과 추이는 다음과 같다.

2. 기업집단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기업 집단을 분석하고 싶을 때는 기업집단을 기준으로 볼 수도 있다. 해당 그룹 내 기업 데이터를 합산한 수치를 볼 수 있고 그룹 미션, 주사업, 주기업, 주거래은행 등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딥서치를 통해 LG그룹 내 회사들의 매출과 영업이익 추이를 확인하면 시기별로 그룹 내 기업의 라이징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차트를 보면, LG그룹의 경우 영업이익 기준으로 LG전자와 LG화학이 쌍끌이로 안정적으로 이익을 벌고 있다. 반면 기업 집단 내에서 LG디스플레이는 업황에 따라 이익 변동성이 가장 높은 회사인데, 2010년 초 적자를 기록했지만 업황 턴어라운드에 따라 2017년에는 그룹 내 영업이익 규모 3위까지 올라왔다.


3. 주제
주제 기준의 산업분류는 기존의 전통적 산업분석 체계로 분류되지 않는 회사들을 걸러낼 수 있다. 딥서치는 딥서치의 연산 기능을 활용해 4차 산업혁명, 소셜트렌드, 미래에너지 등 특정 테마/주제와 관련있는 회사들을 분류하고 있다. 해당 주제를 선택하면 그 주제와 관련된 회사들에 대해 산업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4. 사용자 쿼리
지난 자료 ‘팀장님이 울산에 있는 자동차 관련 회사를 조사해 보고하라고 말씀하셨다. 3일 내로.’를 통해서 소개했던 사용자 쿼리 기반 산업분석 기능이 추가되었다. 사용자가 정의한 쿼리(“*울산*” 주소 기업 and “*자동차*”산업 기업)를 통해 ‘울산 지역의 자동차 산업’만을 발라내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이번 딥서치 버전 1.7 업그레이드로 사용자 입맛에 맞는 맞춤형 산업분석이 가능해졌다. 주식 투자자를 위한 딥서치 자체 산업분류부터 다양한 주제 및 사용자 쿼리 기반으로 산업 분석을 보다 효율적으로 해보자!
본 보고서는 딥서치를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딥서치 기능을 활용해 보고 싶으신 분들 중 혹 이용권이 만료된 분들은
링크(클릭)를 통해 트라이얼 이용권을 신청해주시면
1주일 간 딥서치를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