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서치로 요식업계 분석하기

얼마전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를 정주행 했습니다. 주인공 박새로이가 ‘단밤’이라는 작은 가게에서 시작해 요식업계의 골리앗인 ‘장가’를 차지하기까지의 스토리가 매력적이더군요. 드라마 상에서 박새로이와 원한 관계에 있는 장회장은 포차에서 시작해 장가를 대한민국 최고의 회사로 키웠는데요. 그 과정에서 많은 악행을 저질렀고 결국 장가는 내부비리 폭로 등 추문에 휘말리며 주가가 곤두박질치게 됩니다. 박새로이의 회사 I.C(이태원 클라쓰)는 이때 폭락한 장가의 주식을 매수해 장가의 새로운 주인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권선징악형 스토리 입니다.

<이태원 클라쓰>에서 장가는 왜 무너졌을 까요? 드라마적 장치인 장회장의 악행은 논외로 하더라도 드라마를 보는 동안 저렇게 회사를 운영해도 될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박새로이의 ‘이태원 클라쓰’라는 경쟁자에 대한 분석이 너무나 미흡했기 때문입니다. 회사 운영을 대표인 장회장의 육감과 지시에만 의존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요. ‘단밤’으로 시작한 이태원 클라쓰가 짧은 시간 동안 전국 300여개 지점을 낸 시가총액 800억원대의 주식회사 I.C.로 성장하는 동안 장가는 이에 대한 치열한 ‘시장 조사’를 하지 않았습니다.

치킨, 피자부터 대만 카스테라, 마라탕까지. 요식 업계는 특히나 트렌드에 민감해 업체나 브랜드의 변화가 빠른 편입니다. 이런 요식업 시장에서 꾸준히 잘 팔리는 여러 개의 브랜드를 가진 프랜차이즈로 성장하려면 트렌드와 새로운 시장 진입자를 리서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장가’의 패착을 교훈 삼아 요식업(통계청 산업 분류 기준 음식점업)에 대한 산업 분석을 해볼까요? 기관에서 만든 리서치 자료가 없더라도, 구글링을 하지 않더라도 딥서치를 활용하면 요식업 주요 회사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산업분석 메뉴에서 통계청 산업분류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선택해주세요.

그 결과 요식업 내에서는 매출 기준으로 씨제이푸드빌, 버거킹을 보유한 비케이알, 투썸플레이스가 상위권에 위치 했습니다. 요리사이자 외식사업가로 유명한 백종원 대표의 더본코리아도 눈에 띄구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디딤이라는 회사도 있습니다. 생소한 이름과는 달리 연안식당, 공화춘, 도쿄하나 등의 꽤 인지도 있는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성격이 조금 다른 씨제이푸드빌을 제외한 음식점업 내 회사들의 매출 추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2019년 기준 전체 매출액은 5.59조원으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요 회사별 영업이익 추이와 증가율을 볼까요? 크리스피 치킨으로 유명한 KFC는 2015년 이후 영업 적자를 기록하다 최근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도미노 파지를 운영하는 청오디피케이는 최근 영업이익이 살짝 주춤합니다. 반면 10년 가까이 안정적인 영업이익 증가율을 유지한 회사도 있습니다. 더본코리아인데요. 연평균 성장률 38%라는 엄청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더본코리아는 1994년 쌈밥집으로 시작해 한신포차, 빽다방부터 제주도의 호텔 ’더본제주’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해 왔습니다. 이미 2018년 부터 상장 주관사를 정했고 재무 조건 역시 코스피 시장 상장 조건을 충족하는 만큼 조만간 상장을 할수도 있겠지요.

흥미롭게도 업계에서 예상하는 더본코리아의 기업가치가 <이태원 클라쓰>에서 나온 장가의 기업 규모(2,000억원)와 유사합니다. 시장에서는 더본코리아의 상장 시 예상 기업 규모를 3,000억원 가량으로 보고 있는데, 맘스터치를 보유한 해마로푸드서비스의 시가총액이 2,400억원정도 입니다.

마지막으로, 요식업계 종사자 혹은 투자자라면 비슷한 사업 모델로 상장을 준비하는 교촌에 대한 뉴스도 챙겨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래 딥서치의 뉴스룸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자료에서 살펴본

더본코리아 기업분석 페이지 보기 (클릭)
교촌 상장 관련 뉴스 모니터링 하기(클릭)


본 보고서는 딥서치를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딥서치 기능을 활용해 보고 싶으신 분들 중 혹 이용권이 만료된 분들은
링크(클릭)를 통해 트라이얼 이용권을 신청해주시면
1주일 간 딥서치를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