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를 만든 사람들 #인물분석

5천만 대한민국 사람들이 가장 즐겨 찾는 서비스는 뭐가 있을까요? 단연 ‘카카오톡’이라고 생각합니다. 메신저로 시작한 카카오는 포털사이트인 다음과의 합병을 거쳐 현재 모빌리티, 금융 등의 업종으로도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카카오의 조금 다른 면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카카오를 만든 ‘사람들’에 대해서 얘기해 볼텐데요. 사업보고서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업의 운영진, 창립자와 관련한 부분을 딥서치의 인물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어떤 회사에 대해서 궁금할 때는 사업영역, 재무제표 등을 통해 이 회사가 어떤 일을 하는지 부터 파악합니다. 딥서치의 종목 분석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죠. 회사가 몸뚱이(?)라면 회사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그 육체를 관장하는 영혼에 가깝습니다. 공시나 뉴스 등 접근 가능한 정보가 많지 않은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VC는 그 회사를 운영하는 인물들을 보고 투자한다고 할만큼 회사의 흥망성쇄에 있어 ‘사람들’ 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글에서는 카카오 외에도 복잡한 지배구조로 유명한 롯데 그룹의 사례를 들어 인물 분석 기능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인물 분석 맛보기: 카카오의 김범수, 네이버의 이해진

카카오의 기업 분석 페이지의 임직원 정보 탭을 보면 과거 임원 리스트를 쭈욱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설립자인 김범수 의장이 사내이사로 재직중이고, 여민수 조수용씨가 공동 대표이사로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물에 초점을 맞춰 기업의 히스토리를 파악해 보겠습니다. 딥서치의 인물분석 페이지로 넘어오셔서 기업명을 기준으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지금처럼 카카오에 대해 궁금할 때는 기업명 검색을, 김범수 의장이나 이건희 회장처럼 특정 인물을 찾아보고 싶을 때는 이름 검색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검색 되어 나온 인물을 아래처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장, 사내이사, 사외이사 등 고위직 분들 뿐만 아니라 주요 Unit장 등 사업보고서에 나오는 분들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직위 필터를 기준으로 ‘대표이사’ 가 포함되는 것들을 선택하면 역대 카카오의 대표를 맡았던 분들을 쭉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카카오가 2015년 합병되었기 때문에 그 전의 데이터는 나오지 않습니다)

검색 결과로 나온 인물 중 김범수 의장의 이름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이 인물에 대한 기본 정보(생년월일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 인물을 중심으로 이력과 주변 관계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김범수 의장은 1966년생으로 현재 카카오 사내이사를 맡고 있고 그 전에는 카카오엠 사내이사, NAVER 비상근이사, 한게임커뮤니케이션 대표이사 사장 등의 자리를 거쳤습니다. 김범수 의장의 이력 뿐만 아니라 아래처럼 해당 회사의 주요 인물들의 재직과 이력을 같은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왼쪽의 체크박스 선택/해제해 다양한 각도로 회사와 인물들의 이력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아래 결과 차트는 카카오에서 현재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조수용 대표를, 네이버에서는 이해진 의장을 체크한 것입니다.

더 아래 화면에는 인물과 관련된 뉴스만을 추려서 확인할수도 있는데요. 분석 대상 인물인 김범수 의장이 아닌 다른 사람의 뉴스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관계 차트에서 관심있는 인물에 해당하는 노드를 클릭하고 오른쪽 위에 뜨는 팝업 중 ‘선택한 관계를 중심으로 관련뉴스 재검색’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김범수 의장과 관련된 뉴스로는 최근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의 사망 이후 나온 기사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인물 분석 고급: 관계(네트워크) 차트로 복잡한 사이도 한 눈에~

앞서 보여드린 것처럼 시계열을 기준으로 기업-인물간의 관계를 볼 수도 있고, 네트워크 형태로 볼수도 있습니다. 특히 삼성, 롯데, 현대 등의 재벌가 처럼 여러 인물과 기업이 얽혀있는 관계를 들여다 볼때는 네트워크 형태가 편리합니다. 롯데가의 신동빈 회장을 기준으로 검색 결과를 볼까요?

신동빈 회장의 이력만해도 10건이 넘어갑니다. 타임라인대로 정리한 이력 차트를 보면 깔끔하게 결과가 한눈에 들어왔던 김범수 의장 대비 전체적인 흐름을 보기가 어렵습니다. 아래의 관계 그래프를 확인하면 조금 더 깔끔한 결과를 볼 수 있고, 신격호 회장(신동빈 회장의 아버지) 등과의 관계 변화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계(네트워크) 차트를 처음 보면 너무 복잡해 보여서 어렵게 느껴지실 텐데요. 원은 인물이나 회사를 나타내는 것으로 ‘노드’라고 부르고, 회사와 인물 노드들은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라인에는 해당 인물이 회사에서 어떤 직책으로 일했는지가 나오게 됩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 회사와 인물을파란색 노드는 분석 대상인 인물 ‘신동빈 회장’을, 붉은색 노드는 그가 재직하고 있는 회사를, 회색 노드는 해당 회사에서 신동빈 회장과 오래 같이 일한 상위 2명을 나타낸 것입니다. 가장 최근 자료를 기준으로 기간을 선택하고 기업별로 신동빈 회장과 가장 오래 같이 일한(재직기간이 많이 겹치는) 상위 인물 2명을 아래처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간선택 아래의 상위 n명 바를 움직이면 가장 오래 같이 일한 상위 인물을 n명까지 늘릴 수가 있습니다. 관련 전체 인물노출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모~든 인물을 차트위에 나타내게 됩니다. 롯데 신동빈 회장의 케이스는 워낙 회사와 인물이 많아 해당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글씨가 안보이는 불상사가 일어나더군요^^;;;

롯대지주 대표이사인 신동빈 회장은 가장 최근 자료 기준 롯데재과의 대표이사회장,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호텔롯데 회장, 롯데렌탈 회장, 롯데쇼핑 회장, 롯데건설 회장, 롯데칠성 회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롯데제과의 노드를 보면 대표이사부사장인 민영기님과 사외이사 장용성님이 롯데제과 내에서 가장 오래 같이 근무하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재직 기간은 사업보고서 등 공시를 기준으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지난주 언론을 통해서 사퇴 의사를 밝힌 내용 등 완전 최신 데이터가 반영 되기는 어렵습니다)


이 관계 차트를 업무에 잘 활용할 수 있는 꿀팁은 다음 글을 통해서 사례와 함께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딥서치가 제공하는 무궁무진한 데이터와 기능들을 통해서 똑똑하게, 빠르게 업무를 처리하세요 🙂

깊이 있는 리서치를 지원합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