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올해 한국 콘텐츠에 5,500억 투자, 미국 중국 의존도 줄이기 가속화 한국 반도체, 배터리 산업 미국수출 상승 가능성

  1. 넷플릭스 “올해 한국 콘텐츠에 5500억원 투자할 것”

넷플릭스가 올해 한국 콘텐츠에 5억 달러(55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넷플릭스 김민영 총괄은 “올 한해동안 한국 콘텐츠에 5억 달러(5500억원) 가량을 투자하겠다”며 “전 세계 사람들이 사랑할 수 있는 한국 콘텐츠를 만들고, 국내 제작업계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 콘텐츠 업계와 동행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딥서치 뉴스분석 : 기업별 “넷플릭스” 키워드와 관련 뉴스개수

딥서치 문서검색 기능으로 기업별로 “넷플릭스”라는 키워드로 발행된 뉴스에 대한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을 해보면, IT기업들인 구글코리아, 네이버, 카카오,애플 등이 상위권에 노출되었으며, 스튜디오드래곤 등 드라마 제작업체와 웹툰IP기반의 넷플릭스 드라마인 “스위트홈”으로 인하여 네이버웹툰 등도 노출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 스튜디오드래곤

  • 2016년 5월 CJENM의 드라마사업부 물적분할로 설립,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작 드라마로는 응답하라 시리즈, 도깨비, 아스달연대기, 사랑의불시착 등이 있으며 CJENM의 tvN, OCN과 글로벌 OTT 넷플릭스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유명 작가와 감독 및 연출 확보를 통해서 우수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CJ ENM의 판매 대행을 통해 안정적 판매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의 스튜디오드래곤의 매출구분입니다. 드라마편성, 드라마판매, 기타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 편성 : 제작사(스튜디오드래곤) — 방송사 간의 드라마 제작과 관련된 매출을 회차별로 인식하는 수익으로 이해됩니다. 즉, 1회성의 매출로 이해됩니다.

드라마 판매 : 제작사 — 방송사간의 계약마다 다르겠지만 드라마 판권에 대한 소유가 스튜디오드래곤인 경우 정규 방송 이외에 해외 OTT사 등에 CJ ENM을 통해서 재판매가 이루어지고 정산받는 수익금으로 이해됩니다.

넷플릭스는 드라마 제작사들에 회차별 예산으로 매우 큰 금액을 책정한다고 합니다. 대신, 해당 드라마에 대한 판권을 가져갑니다. 많은 자본을 통해서 좋은 컨텐츠를 만들고 그 컨텐츠의 판권을 취한 후 전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재판매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전세계의 많은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마련되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제작사뿐만아니라 새로운 세계관 및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웹툰, 웹소설 등 시장도 커져가고 있습니다.

2. 美 공급망 검토, 韓 배터리·반도체에 ‘기회이자 위기’

미국이 중국기업을 견제하기 위하여 반도체, 배터리 등 품목에 대해서 공급망을 재검토중에 있습니다. 배터리의 경우 세계 1위 업체인 중국 CATL이 미국 공장을 짓지 못한 사이 한국 업체들이 더 약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업계는 우리 최대수출처인 중국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미국이 자국 우선 공급을 강요한다면 우리의 중국 수출에는 악영향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기업은 이번 조치로 반사 이익을 기대하는 한편 미국 현지에 생산시설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 거세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은 유럽이나 중국에 비해 배터리 생산 능력 경쟁에서 뒤떨어진 상태이며, 미국 현지에 테슬라용 배터리만 생산하는 일본 파나소닉과 더불어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공장만 건설돼 있습니다. 세계 1위인 중국의 CATL은 미국 진출을 못 한 상태입니다.

배터리는 수송 비용 등을 고려하면 주로 완성차 업체 인근에서 생산해야 한다. 미국 정부는 CATL의 미국 진출을 사전에 막으면서 한국과 일본 기업에 미국 내 투자와 증설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면, 중국이 반도체 굴기에 나서고 있지만 생산 능력이나 개발 수준 모두 미국, 대만, 한국에 못 미쳐 미국 정보기술(IT) 기업의 중국 의존도는 높지 않습니다. 미국에 공장을 짓고 있는 대만 TSMC처럼 한국 기업의 미국 반도체 증설 압박이 더욱 강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있습니다.


https://mailchi.mp/deepsearch/subscribehttps://mailchi.mp/deepsearch/subscrib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