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기업 페이지 추가
- 토픽, 지분, 컨센서스, 주주, 시장 기반 이슈기업(클릭)을 볼 수 있습니다.
1) 토픽 기반: 시장에서 핫한 토픽을 기준으로 상위 종목을 스크리닝하고 오른쪽에서 해당 기업의 최근 뉴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지분 기반: 가장 최근 결산연도 기준으로 대주주 변화(지분 변동 상위), 국민연금 지분율 절대값과 변화분, 산업은행 지분 기업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국민연금 지분: 국민연금 지분율 상위, 국민연금 지분확대 기업, 국민연금 지분축소 기업이 정리되어 있고, 국민연금 비지분기업을 매출 혹은 거래량 기준으로 정렬해서 볼 수 있습니다. 각각 국민연금 비지분기업 매출액 상위, 거래량 상위를 클릭하면 됩니다.
3) 시장 기반: KOSPI, KOSDAQ 시장의 주가 급등/급락, 거래랑 급등/급락, 시가총액 및 거래량 상위 종목의 가격 데이터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 ) 및 최근 뉴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컨센서스 기반: 컨센서스 변화율 상하위 종목을 볼 수 있습니다.
컨센서스 변화는
1) 올해/내년
2)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및 그 외 여러 재무제표 데이터 컨센서스가
3) 1, 2, 3개월 전 대비
얼마나 변했는지를 기준으로 측정하게 됩니다.
올해 (2019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3개월 전 대비로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컨센서스가 존재하는 종목 중 컨센서스가 가장 많이 상향된 종목을 순서대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컨센서스 하향 화면에서는 컨센서스가 가장 하향된(낮아진) 종목을 순서대로 볼 수 있습니다.
5) 주주 기반: 지분 기반 화면에서 국민연금, 산업은행이 주주인 경우를 기준으로 기업을 확인했다면 사용자가 궁금한 주주를 검색해 보유한 종목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분석 페이지 신규 기능 탑재
- 주주 및 배당정보 > 주주 네트워크(클릭)
검색한 종목의 주주 네트워크를 아래와 같은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화살표를 주는 쪽이 받는 쪽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주황색 노드는 기업을, 회색 노드는 그 외(인물 혹은 연기금/운용사 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확인해 봅시다. 아래 삼성전자 주주 네트워크를에서 삼성전자를 클릭하면 직계 주주가 하이라이트 되면서 아래 지분율 매트릭스에서 해당 행이 회색 음영처리 됩니다.
아래 테이블은 행이 주주, 열이 피지배 기업이며 수치는 지분율을 나타냅니다. 주주별로 가장 오른쪽의 실질 지분율은 지배구조를 고려해 계산한 수치다. 실질지분율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오는 산식을 참고해봅시다. 또한 테이블의 주주명을 클릭하면 해당 주주가 보유한 종목 리스트를 한번에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기업분석 > 애널리스트 목표주가/투자의견(클릭)
월별 애널리스트 보고서의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매수/중립/매도) 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표주가의 최소~최대 범위와 삼성전자의 실제 주가를 함께 그래프에 표기했으며, 아래 테이블에서 각 증권사의 목표주가와 목표주가의 변동률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 관계회사 및 사업분야 > 분야별 매출현황(클릭)
사업보고서에 공시되는 분야별 매출 현황을 확인하고 과거 부터의 사업 부문별 매출액을 볼수도 있습니다. 파이차트 아래의 시점을 클릭하면 그 시점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야별 매출액 파이차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분석(re) 채권 분석 추가
베타 버전 추가 업데이트를 통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채권 반응 분석이 가능해 졌습니다. 기존 이벤트 분석(re)베타 페이지는 1) 이벤트 정의 정교화, 2) 특정 이벤트에 대해 top-down 및 bottom-up 양방향 분석이 가능한 화면이었습니다.
채권분석 화면(클릭)을 사용해 보자. 이벤트 시점을 정의하고 오른쪽 위의 주식 분석, 채권 분석 버튼을 클릭합니다.
채권 분석 기준은 크게 발행자 기준 검색, 채권 분류 기준 검색, 산업 기준 검색이 가능합니다.
– 발행자 기준으로 국채, 지방채, 특수채, 통안채, 금융채, 회사채 체크박스를 클릭할 수 있고, 채권 분류 별로 해당 이벤트 날짜의 채권 수익률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 채권 분류를 기준으로 위와 같은 국채, 지방채등 대분류를 선택하고, 회사채 등급 등 상세 분류를 선택하면 마찬가지로 수익률 변화 확인이 가능합니다.
– 거래소 산업분류 기준으로 산업목록을 선택해서 수익률 변화를 막대 그래프로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아래 화면에서 상세 채권 발행자 목록을 보고, 이벤트 당일 수익률 곡선 및 수익률 곡선 변화 그리고 이벤트 전후 금리 누적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딥서치를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딥서치 기능을 활용해 보고 싶으신 분들 중 혹 이용권이 만료된 분들은
링크(클릭)를 통해 트라이얼 이용권을 신청해주시면
1주일 간 딥서치를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