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메신저가 된 카카오톡. 남녀노소 누구나 카카오톡을 통해 소통하고 연락을 주고 받는 시대입니다. 보낼 수 있는 글자 수에 제한이 있어 어떻게 긴 내용을 줄여서 보낼까 고민하던 ‘문자 메시지’의 시대와는 여러모로 다르죠. 한글자씩 꾹꾹 정성을 담아 보내던 때가 그립기도 하지만 카톡 이모티콘함의 라이언 캐릭터가 하트를 날리는 이모티콘을 보내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카카오의 히트 상품은 뭐니뭐니해도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입니다. 그 다음 히트상품을 꼽자면 저는 주저없이 국민 캐릭터 ‘카카오 프렌즈’를 꼽겠습니다. 2012년 11월 어피치, 콘, 무지, 튜브, 프로도, 네오, 제이지 등 7개 캐릭터로 시작한 카카오프렌즈는 최근 베이비 버전 프렌즈, 니니즈 등 차기작도 출시하며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프렌즈는 핸드폰 속 이모티콘을 뛰어넘어 인형, 문구 등 다양한 삶의 영역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신촌, 강남 등지에 오프라인 매장인 플래그쉽 스토어가 생겨났고, 각종 생활용품과의 콜라보도 이어졌습니다. 카카오의 신사업 분야인 금융 부문에서도 의외의 시너지를 발휘했는데요. 카카오 뱅크 체크카드는 출시 3주 만에 150만장 발급이라는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이 흥행에 카카오프렌즈가 그려진 귀여운 카드 디자인이 큰 기여를 했죠.
2015년 여름 카카오프렌즈는 카카오 내 사업부에서 독립된 자회사로 분사를 결정했습니다. 카카오프렌즈의 사업의 영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카카오 프렌즈는 캐릭터 상품의 제조, 판매 또는 제3자에 대한 라이선싱 부여를 목적으로 2015년 5월 26일에 설립되었으며, 캐릭터 상품의 유통, 캐릭터 라이선싱 서비스 및 식음료 판매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딥서치를 통해 카카오프렌즈의 매출액과 영업이익률을 살펴보면 2018년 이전의 높은 마진율이 눈에 띕니다. 2016년은 무려 30%가 넘는 영업이익률과 700억원대의 매출을 올렸는데요. 2018년 이후로는 영업이익률이 10% 아래로 내려왔습니다.
이는 2018년 5월 주식회사 제이오에이치를 합병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제이오에이치는 현재 카카오 대표인 조수용 대표이사가 설립한 디자인/마케팅 회사입니다. 제이오에이치와의 합병으로 카카오프렌즈는 캐릭터 사업 외에도 브랜드 다큐멘터리 매거진 ‘매거진B’, 신개념 공간 플랫폼 브랜드 ‘사운즈’ 등 라이프 스타일 관련 브랜드를 갖게 되었습니다. 합병 이후 회사명도 “카카오아이엑스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2019년 카카오아이엑스는 1,5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기록했는데요. 감사보고서 상의 매출은 상품매출/로열티매출/식음료매출/기타매출 4부문으로 쪼개집니다. 로열티 매출은 일정한 가운데 나머지 부문 매출은 모두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

카카오에 카카오프렌즈가 있다면 네이버에는 라인프렌즈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2015년에 설립된 라인프렌즈는 국내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등지로 팝업 스토어를 열며 공격적인 확장을 하고 있습니다. 라인프렌즈는 ‘라인프렌즈’ 외에도 BTS와 새로운 IP인 ‘BT21’ 등을 갖고 있는데요. 작년에는 브롤스타즈와 협업한 새로운 캐릭터를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라인프렌즈도 카카오와 마찬가지로 눈에 띄는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라인프렌즈에 따르면 2019년 글로벌 브랜드 매출은 2,000억원을 넘어섰는데요. 독립 법인 분사 4년 만에 무려 452% 성장했습니다.

이모티콘으로 시작해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나가고 있는 카카오아이엑스와 라인프렌즈. 한국의 디즈니로 자리잡길 기원하며, 앞으로 딥서치/감사보고서를 통해 두 회사의 상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자료에서 살펴본
본 보고서는 딥서치를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딥서치 기능을 활용해 보고 싶으신 분들 중 혹 이용권이 만료된 분들은
링크(클릭)를 통해 트라이얼 이용권을 신청해주시면
1주일 간 딥서치를 사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