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기차 배터리 1등 제조업체 전구체 공장화재로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 반사이익 기대, 현대차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관련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구상

전방산업인 전기차 제조업 성장하면서 이차전지 산업도 급속도로 성장 중에 있습니다. 2020년 11월 기준 중국의 CATL이 24.2%로 전기차용 배터리시장에서 점유율 1등을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작년 발생한 5월 및 8월 배터리 사고, 지난 8일 CATL 자회사 전구체 공장 폭발사고 등으로 국내 배터리관련 기업에 반사이익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전구체 관련 기업)

현대차그룹은 전기차에서 회수한 배터리를 재사용해 태양광 발전소에서 활용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습니다. 전기차가 상용화됨에 따라 배터리생산량이 많아지고 폐배터리를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나오고 있습니다. (OCI, 에코프로비엠)

  1. 매일 신고가 쓰는 전기차 배터리…”그래도 더 성장할 수 있다”

여기에 최근 삼성SDI·SK이노베이션의 현대차 배터리 공급설과 LG화학이 배터리를 납품하는 테슬라의 상승세, 중국 배터리 기업인 CATL의 주가 급등 등과 맞물려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 경쟁사인 중국 CATL의 시가총액(159조원·이하 8일 기준)과 비교하면, 그와 공급 규모가 비슷한 LG화학(70조원)과 앞으로 고성장할 삼성SDI(50조원)·SK이노베이션(26조원)은 아직 저평가됐다는 것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은 전기차용 배터리와 관련하여 24.2%의 점유율을 기록중입니다. 중국 전기차 내수시장이 다시 성장하면서 CATL은 2020년 10월 기준 점유율 1등인 LG에너지솔루션을 제치고 다시 선두를 탈환하였습니다.

하지만, 2020년 5월과 8월 광저우기차(GAC)의 ‘아이온S’ 전기차 모델에서 배터리문제로 화재가 발생한 바 있으며 지난 2021년 1월 8일에는 TACL의 자회사인 Hunan Brunp Recycling Technology사의 전구체를 생산하는 공장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전구체의 경우, 한국 및 일본이 자체적으로 생산량보다 소비량이 많아서 중국으로부터 수입해오는 구조입니다. 국내에서는 전구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하고있으며, 해당 CATL의 전구체 공장 폭발사고가 국내 전구체 생산업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관련기업 리스트 : 전구체 and 양극활물질 관련 기업 (리스트 더보기)

전구체와 관련된 기업은 에코프로비엠과 이엔드디 등 5개 회사가 조회됩니다. 그 중 딥서치 관련기업 키워드 점수가 가장 높은 에코프로비엠과 이엔드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관련 기업 : 에코프로비엠

  • 2016년 5월 (주)에코프로의 2차전지소재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충북 청원군 오창산업단지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 주요 제품은 리튬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로 2020년 말 기준 월 약 5,000톤의 양극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며, 수요에 대비하여 신증설을 지속하고 있음.
  • 글로벌 NCA 양극소재분야에서 스미모토메탈마이닝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력 강화 및 고객 다변화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음.

에코프로비엠은 NCM(니켈, 코발트, 망간) 및 NCA(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등의 양극재를 생산합니다. 양극재를 생산하기 위한 전구체의 경우, 자회사인 에코GEM에서 생산하고 공급받습니다. 2020년 3분기 사업보고서 기준 연 24,000톤의 전구체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 공장 증설을 통하여 약 50,000톤까지 생산능력을 늘릴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 이엔드디

  • 자동차 배출가스 정화용 촉매 및 장치와 중대형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를 목적으로 2004년 9월 설립되었으며, 2020년 코넥스 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
  • 2차전지 전구체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매연저감장치 관련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를 동시에 제거하는 PM-NOX는 환경부 인증을 획득하였음.
  •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2012년 9월 중국 허페이에 합작법인 설립하고 연간 50만 대 생산규모의 촉매공장 건설, 2014년부터 양산을 시작하여 다양한 기종의 차량에 공급 중.

관련 문서 : 이엔드디 유형자산 양수 결정 (관련문서 더보기)

이엔드디는 현재 동일 공장에서 촉매소재와 이차전지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8일 유형자산 양수 결정공시에 따르면 회사는 2021년 이차전지 전구체 생산에 집중하려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또한, 지난 11월에는 NCM(니켈, 코발트, 망간) 전구체 관련 특허를 취득한 바 있습니다

2. 현대차,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한다…태양광 발전소서 활용

현대차그룹은 전기차에서 회수한 배터리를 재사용해 태양광 발전소에서 활용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배터리를 재사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태양광 발전소를 연계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한국수력원자력과 협력해 진행되는 이번 실증 사업을 통해 향후 세계 최대 규모의 3GWh급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에너지저장장치 보급 사업도 추진한다.

관련 기업 리스트: 폐배터리 관련 기업 (리스트 더보기)

딥서치 관련 기업 키워드상 폐배터리와 관련된 기업은 에코프로비엠, LG화학 등 6개사가 조회됩니다.

관련 기업 : OCI (기업분석 더보기)

  • 소다회 및 관련 제품의 제조, 판매를 주사업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1년 5월 (주)제철화학과 합병하여 동양제철화학(주)으로 상호 변경, 2009년 4월 현재의 상호로 변경함.
  •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산 업체로 주요 사업은 베이직케미컬(폴리실리콘과 TDI 등), 카본케미컬(핏치와 카본블랙 등), 에너지솔루션(열병합 발전소 등)과 기타 사업으로 구분됨.
  • 2017년 5월 OCIM Sdn. Bhd.(구 Tokuyama Malaysia Sdn. Bhd.)를 인수하여 증설 등을 통해 연산 69,000MT의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을 확보.

OCI의 자회사인 OCI파워는 자사 태양광발전소에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했습니다. OCI는 2019년 연결기준 2.61조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자회사 OCI파워는 2019년 매출 422억을 기록하였습니다.

관련 기업 : 에코프로 (기업분석 더 보기)

관련 문서 : 2020년 3분기 사업보고서 (관련 문서 더보기)

에코프로는 자회사로 에코프로비엠(양극재 생산), 에코프로지이엠(양극재 생산을 위한 전구체 생산) 등을 두고있으며, 최근 삼성SDI와 손잡고 에코프로이엠을 신설한 바 있습니다.

에코프로는 폐배터리를 활용하여 원재료(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를 채취하여 새로운 배터리를 만드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ttps://mailchi.mp/deepsearch/subscribehttps://mailchi.mp/deepsearch/subscrib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