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빅히트&YG엔터 네이버AR 서비스에 120억원 투자, 원화 초강세

안녕하세요, 딥서치 입니다. 매일 그날의 이슈를 정리하고, 관련된 기업, 산업 및 경제 지표를 함께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딥서치 무료 가입하고 뉴스레터 구독하기)

LG화학이 올해 3분기 창사 이래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고부가합성수지(ABS)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석유화학 부문 수익성이 개선된 것은 물론, 전기차 배터리 시장 수요 증가로 시장 호황을 이어가고 있는 전지 부문이 호실적을 견인하였습니다. (LG화학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 화학산업분석)

글로벌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 운영사 네이버제트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로부터 총 12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유상증자 공시, 네이버제트 관련 뉴스)

2020년 10월 12일 원/달러 환율이 1년 6개월 만에 1140원대로 진입하여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환율하락 이벤트 분석)

1 . LG화학, 3분기 역대 최대 실적···배터리 시장서 존재감 증명

LG화학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7조5073억 원, 영업이익 9021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8%, 158.7%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3분기 영업이익은 석유화학 호황기를 누렸던 2011년 8313억 원을 훌쩍 넘기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 4분기 7조4510억 원을 상회했다.

LG화학의 어닝 서프라이즈 배경으로는 주력 사업인 석유화학 사업의 생산 마진 확대와 전지 부문의 실적 개선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LG화학이 창사 이후 처음으로 잠정 실적을 선공개하면서 부문별 실적이 아직 공개되진 않았으나, 증권가에서는 LG화학이 3분기에 석유화학부문에서 7200억 원, 전지 부문에서 1500억 원 가량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 기업 분석 : LG화학 (기업 분석 더보기)

관련 기업 리스트 : 2차전지 관련 기업 ( 검색 결과 더보기 )

관련 산업 : 석유화학 ( 검색 결과 더보기 )

LG화학은 2001년 4월 (주)LGCI(현 (주)LGㆍ구 (주)LG화학)가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기초소재사업과 전지사업, 정보전자소재/재료사업, 생명과학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인 기초소재산업 부문은 납사 등을 원료로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등의 기초원료 생산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2016년 4월 (주)팜한농(구 동부팜한농(주))을 종속기업으로 편입한 가운데 2017년 1월 (주)엘지생명과학을 흡수합병하며 생명과학사업본부를 신설하였습니다.

2 . 빅히트·YG ‘네이버 AR 서비스’에 120억 투자

글로벌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 운영사 네이버제트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로부터 총 12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2일 밝혔다.

또 네이버제트, 빅히트, YG 3사는 이번 투자 협업을 통해 각 사가 보유한 글로벌 지식재산권(IP)와 글로벌 AR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 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김대욱 네이버제트 대표는 “사용자들이 제페토 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IP를 활용한 2차 창작활동에 매우 적극적인만큼 빅히트, YG와의 시너지가 매우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IP 사업자들과의 네트워크를 더욱 확대해가며 제페토만의 무한한 가상세계를 더욱 풍성하게 채워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공시 : 네이버제트 유상증자결정

관련뉴스 모아보기 : 네이버제트 관련 뉴스

증강현실에 기반한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는 2018년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에서 출시한 캐릭터 제작서비스로, 2020년 5월 네이버제트로 분사하였습니다. 분사 후 나이키, 디즈니와 같은 글로벌 기업과 협업할 정도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빅히트와 YG가 네이버제트에 투자한 배경은 “제페토”의 유저 대부분이 해외에서 접속하는 13~18세 Z세대이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2020년 8월 기준 글로벌 가입자 1.8억명 돌파, “제페토”에서 2차 생산된 콘텐츠만 9억여건으로 지난달 블랙핑크가 개최한 가상팬사인회에는 무려 4,600만명이 넘는 유저가 접속하였습니다.

3 . 원화 초강세…환율 1년반만에 1140원대

2020년 10월 12일 원/달러 환율이 1140원대로 진입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종가보다 6.5원 내린 달러당 1146.8원에 마감했다. 환율이 종가 기준으로 1140원대를 기록한 것은 작년 4월 23일(1141.8원)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이다.

한국은 중국과의 높은 경제적 연관성으로 원화와 위안화의 동조화 경향이 높습니다. 2020년 10월 현재 중국은 타국대비 양호한 경기성장세와 금융시장 개방정책으로 위안화 절상압력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원화의 절상압력이 함께 나타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적극적인 재정정책(달러화 공급이 많아짐)을 지지하는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당선가능성과 미국의 추가경기부양책 합의 소식도 원화의 추가 절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환율이 하락할 경우, 즉, 원화의 가치가 상승할 경우 수출기업들의 가격우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수출 기업들의 실적 증가 모멘텀 기대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대내외 여건에 따라 환율하락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과거 환율이 급격히 하락한 시점의 거시경제 및 시장의 흐름이 어떠했는지 면밀히 살펴보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과거 환율하락시 이벤트 분석 보기 )

관련 경제 지표 : 대원화 환율 ( 경제 지표 상세 보기 )

원/달러 환율

-원/위안 환율

— — — — — — — — — — — —

상기 각각의 링크를 클릭하여, 딥서치로 보다 깊이 있게 리서치를 수행해 보실 수 있습니다. (딥서치 무료 가입하고 뉴스레터 구독하기)

깊이 있는 리서치를 지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딥서치 드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