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딥서치 입니다. 매일 그날의 이슈를 정리하고, 관련된 기업, 산업 및 경제 지표를 함께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LG화학이 12월 배터리 사업을 분사하고, 기업공개를 추진해 투자금 확보에 나설 예정입니다. 현재 LG화학 내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은 매출액 기준으로 40% 에 육박하고 있으며, 2분기에 처음으로 흑자 전환한 바 있습니다. ( LG 화학 실적 분석 )
현대자동차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수소전기자동차가 아니라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해외 기업에 판매한 건 이번이 처음이어서, 수소사업의 범위를 자동차에서 전 산업 분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수소연료전지 핵심 장비를 현대차에 납품하는 ‘신도기연’ 기업을 분석하였습니다. (신도기연 분석)
카카오의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기업용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워크’ 를 출시합니다. 기존 카카오톡의 사용자 풀을 토대로, B2B 시장에 진입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관련 경쟁사는 네이버의 자회사인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으로, ‘네이버웍스’ 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 분석)

17일 긴급이사회 소집 승인 예정 100% 자회사로 편입 물적 분할 배터리 투자금 확보 IPO 추진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1위 업체인 LG화학이 전지사업 부문을 분사시켜 별도 법인으로 출범시킨다. LG화학은 전기차 배터리 등 전지사업 부문 분사 이후 기업공개(IPO)도 추진해 투자자금 확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LG화학 전지사업 부문이 성공적으로 분사되고, 이후 투자금 확보까지 이뤄진다면 글로벌 배터리 1위 업체로서의 위상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 LG배터리 관련 뉴스 더보기 )
관련 기업 : LG화학 ( 기업 분석 더보기 )

LG화학의 최근 IR 자료를 살펴보면, 주요 사업부문별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석유화학, 전지, 첨단소재, 생명과학, 팜한농이 주요 사업 부문이며, 각각의 비중은 석유화학 45%, 전지 40%, 기타 15% 입니다. 이중 전지 부분의 매출액이 크게 상승하고 있으며, 2분기 기준으로 처음 영업이익 기준으로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수소전기자동차가 아니라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해외 기업에 판매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수소사업의 범위를 자동차에서 전 산업 분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수소연료전지 관련 뉴스 더보기)
관련 기업 : 신도기연 (기업 분석 더보기)
신도기연은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장비를 현대차에 납품한 올해 7월 상장한 기업입니다.

신도기연은 2000년 8월에 설립되어 합착기 및 탈포기 등 디스플레이(LCD/OLED) 장비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3D합착기의 실리콘 패드 합착 기술, 다이아프램 부착 방식과, 탈포기 기술에 대해서는 업계 내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신사업으로 수소연료전지 사업 및 진공유리 사업을 시작한 바 있습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2천억 수준이며, 매출액 및 당기순이익은 각각 850억, 150억 수준 입니다.
3. 카톡 닮은 기업용 메신저 나왔다…경쟁 격화된 업무툴 시장

16일 베일 벗은 협업툴 ‘카카오워크’
카카오톡을 닮은 기업용 메신저(협업툴)인 ‘카카오워크’가 탄생했다. 카카오에서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자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16일 새로운 협업툴인 카카오워크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재택·원격근무가 활성화되면서 국내 협업툴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카카오워크 관련 뉴스 더보기)
관련 기업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업분석 더보기)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경우 비상장기업으로 공개된 정보가 많지 않으나, 공시된 일부 정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카카오가 96% 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임원인 백상엽, 김창준, 강성 이사가 약간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거래 단가인 14,800원을 기준으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시가총액은 약 2천억원 으로 파악됩니다.

종업원수는 478명이며 주요 사업 분야는 AI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개발 입니다.


전기말 기준으로 자산은 780억, 부채는 200억, 자본은 580억 수준이며, 매출액 및 당기순이익은 각각 47억, -48억 수준 입니다.
관련 기업 :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 (기업분석 더보기)
카카오에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있으면, 네이버에는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카카오워크’ 서비스가 기업용 메신저 서비스라면,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에서는 ‘네이버웍스’ 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의 역할을 카카오에서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수행한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은 nCloud 등 클라우드 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현재 종업원 수는 500명 수준으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유사한 수준이나, 매출액은 약 5,000억, 영업이익은 약 300억원 수준이며, 100% 네이버의 자회사 입니다.

2009년 설립 직후 부터 2천억에 가까운 매출액을 기록하였으며, 2014년 광고 사업을 분할하여 모회사에 넘기고 난 후 매출액이 크게 감소했다가 다시 5천억 수준으로 성장한 상태 입니다.
— — — — — — — — — — — —
상기 각각의 링크를 클릭하여, 딥서치로 보다 깊이 있게 리서치를 수행해 보실 수 있습니다. (무료 회원 가입 바로 가기)
깊이 있는 리서치를 지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딥서치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