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하이닉스 인텔 낸드 인수, LCC 화물개조 허용, 산업은행 10억달러 글로벌 채권발행

안녕하세요, 딥서치 입니다. 매일 그날의 이슈를 정리하고, 관련된 기업, 산업 및 경제 지표를 함께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딥서치 무료 가입하고 뉴스레터 구독하기)

SK하이닉스가 미국 인텔사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사업 부문을 인수합니다. 국내 최대 규모 ‘빅딜’로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낸드 시장 점유율 2위 자리에 오르고,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메모리 부문 세계 1위 자리도 더욱 굳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SK 하이닉스 기업분석, 낸드플래시 관련 기업 리스트)

국토교통부가 대형항공사(FSC)에 이어 LCC에 대해서도 유휴 여객기의 화물 운송을 허용하였습니다. 저비용항공사 중 화물운송을 처음으로 시작할 회사는 진에어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저가항공 산업분석)

산업은행이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총 1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하였습니다. 동 채권은 3년 만기 5억달러, 5.5년물 만기 5억달러로 구성된 듀얼 트랜치(Dual-Tranche)1) 구조의 고정금리채로 발행되었으며, 채권발행액은 코로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있는 국내기업 지원 등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산업은행 채권발행 이력분석)

1 . 하이닉스 10조 투자 인텔 낸드 인수

SK하이닉스가 미국 인텔사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사업 부문을 인수한다. 국내 최대 규모 ‘빅딜’로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낸드 시장 점유율 2위 자리에 오르고,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메모리 부문 세계 1위 자리도 더욱 굳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D램 부문에서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2위인 SK하이닉스는 이번 인수로 낸드플래시 부문에서도 세계 5위에서 2위로 올라서게 된다.

관련 기업분석 : SK하이닉스, 낸드플래시 관련 기업 리스트

동사는 SK그룹 산하 SK텔레콤이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하여 2012년 3월 SK하이닉스로 출범시킨 메모리반도체 전문 생산 기업입니다. 경기도 이천시와 충청북도 청주시, 중국 우시와 충칭에 생산공장을 설치ㆍ가동하고 있으며, 다수의 해외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두고 있습니다. 주력 생산 제품은 DRAM, NAND Flash 및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이며, 시스템 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하여 종합반도체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0년 모바일 관련 수요 부진에도 서버와 그래픽 중심의 D램과 데이터센터향 SSD의 수주 호조에 힘입어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되고 있으며, 주력제품의 수율 향상 등으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으나, 외화환산이익 감소 및 법인세비용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은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서버 DRAM 및 SSD의 수요 둔화, 미국의 화웨이 제재 등에도 언택트 확산에 따른 IT화 추세와 5G 관련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등으로 매출 신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동사의 주가는 2020년 10월 20일 종가기준 85,200원이며, 증권사의 목표주가는 99,600원~107,000원 사이에 분포해있습니다.

국내 상장회사중 낸드플래시와 관련된 기업은 약 40개 기업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2 . LCC도 여객기 화물 개조 허용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여객기를 활용한 화물 운송에 본격 나섰다. 국토교통부가 대형항공사(FSC)에 이어 LCC에 대해서도 유휴 여객기의 화물 운송을 허용하면서다. 여객기 객실에 화물을 싣고 운송한 첫 저가항공사는 진에어가 될 전망이다.

관련 산업 분석 : 저가항공 산업

국내 저가항공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6개이며, 총 매출은 4.52조원, 시가총액 1.08조원 입니다.

6개 저가항공사의 매출순위는 제주항공이 1.38조원으로 1위이며 그 다음으로 진에어가 9,101억원 수준 입니다.

2010년 이후 여행의 활성화로 저가항공사의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사태로 인해 향후 3년간은 2018년 매출을 뛰어넘지 못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저가항공 상장기업 포트폴리오의 최근 1년간 성과 또한 벤치마크 대비 크게 하회한 모습을 보입니다.

3 . 산업은행, 10억 달러 규모 글로벌 본드 발행

산업은행은 20일 전세계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총 10억달러 규모의 글로벌 본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이 채권은 3년 만기 5억달러, 5.5년물 만기 5억달러로 구성된 듀얼 트랜치(Dual-Tranche)1) 구조의 고정금리채로 발행됐다. 3년 만기 채권은 사회적 채권으로 발행해 코로나 사태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기업 지원 및 해외사업 재원 등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관련 지표 분석 : 산업은행 채권발행 이력 분석

산업은행의 채권발행규모는 2020년 5,6월에 급증하였으며, 이는 코로나사태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 — — — — — — — — — — —

상기 각각의 링크를 클릭하여, 딥서치로 보다 깊이 있게 리서치를 수행해 보실 수 있습니다. (딥서치 무료 가입하고 뉴스레터 구독하기)

깊이 있는 리서치를 지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딥서치 드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