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지정학적 위험 완화와 증시 반등 시나리오
글로벌 증시 위협 요인 중 하나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우려가 완화됐다는 소식이에요. 이에 뉴욕증시는 반등하고 유가는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전쟁 우려가 완전히 소멸된 것은 아니지만 증시를 위협하는 요인이라는 점은 더욱 분명해졌는데요.

그러나 증시 상승에 가장 큰 장벽으로 작용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여전히 불안 요인으로 남아있어요. 금리 결정 기준은 인플레이션이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주목하는 또 다른 지표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장단기 금리스프레드인데요. Fed가 우려하는 것 중 하나는 장단기 금리차가 플래트닝(평탄화)되면서 금융시장에 자금이 제대로 돌지 않는 경우에요. 물론 가파른 스티프닝도 달갑진 않지만 현 상황에서는 오히려 금리차가 확대되기를 바랄겁니다. 전쟁 우려 완화에 미국 장기채 금리가 상승하고 단기채 금리가 하락했다는 점은 Fed가 금리 결정을 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는 요인이 될 수 있어요. 물론 유가가 더욱 안정돼야 한다는 조건도 충족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2. 버핏은 왜 액티비전블리자드에 꽂혔나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해 4분기 액티비전블리자드 지분을 인수한 것으로 확인됐어요. 액티비전블리자드는 지난 1월 마이크로소프트로의 피인수 소식에 주가가 급등하기도 했는데요.

이 결정이 버핏의 의견인지, 그의 후계자로 꼽히는 토드 콤스 혹은 테드 웨슬러의 의견이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확실한 것은 버핏은 IT 쪽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는 것과 빌 게이츠 MS 창업자와 절친이라는 것이죠. 이 때문에 ‘내부자 거래’ 얘기도 나오는데 이 또한 당장 확인할 수 있는 길은 없어요. 버핏은 약 1조원 투자를 결정했는데 버크셔해서웨이가 보유한 자산을 고려하면 내부자거래가 있었다고 하기엔 민망한 수준이기도 합니다.

다만,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 2016년 애플 주식을 처음 편입했을 당시 토드 콤스와 테드 웨슬러가 버핏을 설득했는데요. 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버핏 투자성향을 고려할 때 ‘경제적 해자’를 강조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이에 비춰보면 액티비전블리자드가 보유한 게임 IP와 그 영향력을 충분히 어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지난해 액티비전블리자드 실적은 ‘어닝쇼크’를 기록했는데요. 2016년 애플 실적도 부진한 것은 마찬가지였어요. 버핏은 ‘경제적 해자’ 기업의 주가가 일시적 혹은 개선할 수 있는 이슈로 폭락한다면 해당 주식을 적극 사들이는 것으로 유명하죠.
3. 국내 게임사 줄줄이 어닝쇼크
국내 게임사들의 실적이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현실화되고 있어요. 발표치는 전부 증권사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상황입니다. 코로나19와 메타버스 모멘텀에 오른 주가는 대부분 상승분을 반납했고요.

이는 비단 국내 게임사들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에요. 2021년은 글로벌 게임 대작이 없다고 평가될만큼 게이머들에게는 잔혹한 한 해였어요. 특히 전 세계 게이머들의 기대를 샀던 2020년 12월 출시작인 ‘사이버펑크 2077’은 “내 마음에도 ‘펑크'”, “2077년이 돼야 게임이 완성되는가” 등 수많은 유저들의 비평과 조롱을 온 몸으로 받으며 1년이 넘는 시간을 보낼 정도였어요.

이 때부터 게임 퀄리티에 대한 유저들의 요구는 높아지기 시작했고, 국내서는 2021년 상반기 P2W(pay to win) 게임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했죠. 2021년은 대작이 없기도 했지만 ‘사이버펑크 사태’ 이후 ‘유료 사전예약’에 대한 관심도 크게 줄면서 게이머들은 선택에 더욱 신중을 기했어요.
이 말을 역으로 생각해보면 퀄리티와 유저 만족도가 높은 게임을 출시하는 게임사에 많은 유저들이 몰릴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에요. 과거는 이미 지난 간 일이고 국내 게임사들도 글로벌 시장에 당당히 내놓을 수 있는 게임을 만든다면 말 그대로 ‘글로벌 게임사’로 도약할 수 있는 상당히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얘기에요. 물론 그런 게임을 만들 수 있느냐가 관건이겠죠. P2E나 NFT 말고 진짜 ‘게임’ 말이에요.
오늘의 딥서치 인사이트는 어떠셨나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매일 이메일로 정보를 받아보세요.
[구독 신청 하기(무료)]
오늘의 이슈를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해 보기 원하시나요? 딥서치 서비스에 가입하고,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해 보세요.
[서비스 가입하기(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