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금리인상 우려 극복한 뉴욕증시
16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1.55%, 나스닥 지수는 3.77% 각각 급등했습니다. 이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고 제롬 파월 Fed 의장이 연내 6회 인상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증시는 전혀 개의치 않았는데요.

우선 금리인상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점을 긍정적 요인으로 꼽을 수 있어요. 이미 증시가 크게 하락하면서 밸류에 대한 부담도 상당히 줄었고요. 또 중요한 부분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협상이 진전을 이뤘다는 점이에요.

향후 전망에 큰 이견이 없다면 그간 하락한 증시는 일정 부분 되돌림 현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그 이후에는 기업 펀더멘탈이나 모멘텀 등을 중심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요. 각 업종들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2. 삼성전자, GOSㆍ해킹 논란에 곤혹
지난 16일 삼성전자가 주주총회를 개최했어요. 이날 주주들은 온ㆍ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화두는 GOS(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 사태와 하락한 주가였어요.

과거와 비교하면 주주들의 움직임은 상당히 적극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각종 논란에 대해 책임을 묻기도 했고요. 이는 주주들이 기업이 각종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명분을 제공한 것이라 할 수 있어요.

그만큼 향후 ESG와 관련된 기업 행보는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지배구조 부문에서 이사회 선임, 주주가치 제고 등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하죠. 기업 입장에서는 피곤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주주들의 정당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기업가치 제고는 물론 각종 논란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3. 위메이드, 실적에서 위믹스 매출 제외
위메이드가 실적에서 위믹스 매출을 제외했어요. 이에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이 크게 감소했고 위믹스 매각으로 유입된 자금은 선수수익 계정에 포함됐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위메이드가 위믹스를 매각하기 전부터 업계에서는 계속 얘기가 돌고 있었어요. 코인을 어떤 계정에 포함시키고, 어떻게 회계 처리를 할 것인지 논의가 오갔는데요. 이를 위메이드가 매출에 반영한 것은 상당히 의외였습니다.

회계 기준이 정립된 후 시장 반응이 중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뉴욕 증시가 급등하면서 위메이드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요. 다만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여부가 향후 위메이드 평판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사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의 딥서치 인사이트는 어떠셨나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매일 이메일로 정보를 받아보세요.
[구독 신청 하기(무료)]
오늘의 이슈를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해 보기 원하시나요? 딥서치 서비스에 가입하고,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해 보세요.
[서비스 가입하기(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