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이슈 브리핑] ‘음주·비만·흡연’이 초래하는 사회경제적 비용 연 41조8000억

[이슈 브리핑] ‘음주·비만·흡연’이 초래하는 사회경제적 비용 연 41조8000억

  • Post author:
  • Post category:Uncategorized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발표한 ‘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비용 연구: 2015~2019년을 대상으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음주, 비만, 흡연 등 건강 위험요인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은 무려 41조8011억원으로 나타났어요. 이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2.17%에 해당되는 규모로 지난 2015년 35조9423억원 대비 16.3% 증가한 수치에요.

음주·비만·흡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연 41조8천억원

사회경제적 비용이란 환자가 지출한 의료비와 이 과정에서 발생한 간병비, 교통비, 미래소득 손실액 등 직간접 비용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에요. 건강 위험요인별로는 음주 36.1%, 비만 33.1%, 흡연 30.8% 순으로 손실 규모가 컸어요. 세부적으로 보면 2019년 기준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총 15조806억원으로 2015년 13조4212억원보다 12.4% 확대됐어요. 같은 기간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11조606억원에서 13조8528억원으로,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11조4605억원에서 12조8677억원으로 각각 확대됐어요.

비중으로 보면 2019년 음주와 흡연은 2015년과 비교해 그대로 거나 줄었지만 비만은 많이 증가했어요. 사실 이 데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비용만 줄여도 2%가 넘는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에요.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2% 중반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단순 계산으로 4%대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죠.

최근 사회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과거와 달리 생활 패턴도 많이 변하고 있어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트랜드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습관’이라는 것은 좀처럼 고치기 어려워요. 결국에는 헬스케어나 평소 관리를 통해 극복해야 하는데요.

구글이 스마트워치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것도 이러한 흐름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을 거에요. 국내서도 네이버와 카카오는 물론 많은 기업들이 헬스케어 사업 추진 혹은 영위하고 있고 또 새로운 기술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인공지능과 결합된 헬스케어라면 100%는 아니더라도 스스로 자기 몸을 관리할 수 있을 거에요. 물론 관련 규제 장벽이 상당히 높아 이 문제를 해결하기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될 수 있어요.


오늘의 딥서치 인사이트는 어떠셨나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매일 이메일로 정보를 받아보세요.
[구독 신청 하기(무료)]

오늘의 이슈를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해 보기 원하시나요? 딥서치 서비스에 가입하고,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해 보세요.
[서비스 가입하기(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