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 23일 발표한 산업 동향 보고서를 통해 경쟁국이 자동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는 반면, 국내 완성차 비계열사 부품기업 연구개발(R&D) 투자가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어요.

한국자동차硏 “국내 車산업 연구개발·인력에 정부 지원 확대 필요”
자동차 산업은 전 세계 3위 R&D 투자 규모를 자랑하며, 투자 기준 16%를 점하고 있어요. 오는 2026년까지 전기동력·소프트웨어 기반 자동차를 양산하기 위해 완성차와 부품 기업들은 R&D와 인적자본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국가별 투자 규모를 보면 지난 2020년 기준 독일(59조원)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33조원), 미국(30조원), 중국(12조원) 순으로 나타났어요. 우리나라는 8조6000억원으로 주요국들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지난 2020~2021년 현대차그룹 R&D 투자가 4094억 원 증가했어요. 하지만 르노코리아자동차·쌍용차 등 외국계 완성차 2개사의 투자는 999억 원 감소했어요. 또 완성차 비계열 부품기업 투자도 378억 원 줄었어요. 사실 국내 업체들 중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시장을 독점하는 수준인데요. 현대차그룹 입장에서는 안정적 수익을 확보할 수 있지만 국내 자동차 업계는 양극화 심화로 ‘발전’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보통 산업은 경쟁하는 과정에서 시장이 확대되고 한 단계 도약하기 때문이에요.
이보다 중요한 것은 자동차 산업이 한 국가의 기술 경쟁력을 평가하는 기준 중 하나라는 겁니다. 현재 자동차 산업은 단순 기술 집약을 넘어 IT 기술이 결합된 신(新) 기술 산업으로 주목 받으면서 이전과는 다른 평가를 받고 있어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자동차 산업 위상도 만만치 않게 성장했는데요. 여기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 플랜이 필요한 상황이에요.
오늘의 딥서치 인사이트는 어떠셨나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매일 이메일로 정보를 받아보세요.
[구독 신청 하기(무료)]
오늘의 이슈를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해 보기 원하시나요? 딥서치 서비스에 가입하고,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해 보세요.
[서비스 가입하기(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