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이슈 브리핑] ‘M&A 매물’ 왓챠가 의미하는 것

[이슈 브리핑] ‘M&A 매물’ 왓챠가 의미하는 것

  • Post author:
  • Post category:Uncategorized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인 왓챠가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는 얘기가 전해졌어요. 그 이유로는 부족한 오리지널 콘텐츠와 금리 상승에 따른 자금조달 여건 악화가 지목됐어요. 이 두 가지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논쟁과 같기 때문에 핵심 요인으로 지목하긴 어렵습니다.

최근 시장이 경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경쟁력이 돋보이거나 비즈니스 모델이 확고한 기업에는 여전히 자금이 몰리고 있거든요. 다른 사업이지만 토스(비바리퍼블리카)가 추가로 3000억원을 외부조달한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이전 글에서도 설명드렸지만 토스는 독특한 발상과 이를 실행에 옮기는 M&A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 상당히 매력적이에요.

매각 사실 여부를 떠나 왓챠는 무엇이 가장 큰 문제일까요? 우선 OTT 산업의 과거와 현재까지 상황을 점검해 볼게요. 넷플릭스 출범으로 본격화된 OTT 산업은 초기 국면 ‘온라인 편의성’과 ‘합리적 가격’이 가장 중요했어요. 특히 모바일 시장이 확대되면서 성장 탄력이 더욱 가속화됐습니다.

그 이후에는 ‘오리지널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집객 효과’가 주효했어요. 이 전략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고요. 그렇다면 향후에는 어떤 전략이 주를 이루게 될까요? 이에 대한 대답은 티빙(CJ)과 시즌(KT) 합병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콘텐츠-이용자 확보 인프라’ 복합 전략

티빙과 시즌은 대주주 특성상 각각 콘텐츠 프로듀싱과 이용자 확보 인프라에 강점을 갖고 있어요.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죠. M&A는 시너지보다는 서로가 가진 리스크를 상대에게 일부 전가해서 낮추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에요. 따라서 티빙과 시즌 합병은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거래라 할 수 있어요.

한편, 국내 OTT 시장은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콘텐츠를 앞세워 가입자 기준 1위 사업자이고요. ‘티빙+시즌’이 2위, SKT를 등에 업은 웨이브가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실 넷플릭스와 비교할 때 웨이브가 뒤쳐질 이유는 없어요. 국내 방송3사가 웨이브 콘텐츠 공급에 참여하고 있는 것은 물론 통신사 인프라를 통해 이용자 유입 측면에서도 유리한 상황이죠.

그러나 웨이브 콘텐츠는 다양성이 부족하고 이용자 니즈를 파악해 제공하는 콘텐츠도 적어요. ‘오리지널 콘텐츠 VS 이용자 인프라’ 구도로 보면 OTT 산업 내에서는 아직 콘텐츠 중요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겠죠.

그런데 넷플릭스 지난 2019년 배틀로얄 장르 게임인 ‘포트나이트’를 언급하며 ‘경쟁자’로 지목했어요. 게임을 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넷플릭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줄어든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였죠. 이는 콘텐츠만으로 이용자를 늘리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암시한 셈이에요.

따라서 티빙과 시즌 합병은 예상보다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는데요.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이용자를 유입될 수 있는 강력한 이용자 확보 인프라도 동시에 충족돼야 한다는 것이죠. 그래야만 향후 OTT 산업 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MAU 경쟁, 왓챠만의 문제일까

다시 돌아가서 왓챠에 대한 얘기를 해볼게요. 표면적으로는 낮은 월간활성화이용자수(MAU)가 가장 문제고 그 뒤에는 콘텐츠와 자금 문제가 자리 잡고 있어요. 넷플릭스가 광고로 눈을 돌리는 것을 보면 OTT가 자체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 말은 왓챠가 높은 MAU를 기록했다고 가정해도 추가 수익모델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향후 전망이 밝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죠. MAU라고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기업이 바로 쿠팡입니다. 쿠팡이 MAU를 앞세워 OTT는 물론 여타 사업에도 진출하면서 락인효과를 노리고 있지만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어요.

시장에 자금이 풍부할 때 ‘MAU’와 그렇지 못할 때 ‘MAU’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은 달라지기 마련이에요. 지금과 같은 시기에는 ‘MAU’ 자체보다 ‘MAU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확장 모델 유무’가 더 중요합니다. 비록 적은 MAU를 기록하고 있더라도 흑자전환 가능성이 높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기업이 있다면 투자자들의 마음도 그 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이에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없이 MAU만을 노린 전략은 결국 앞서 언급한 쿠팡 사례와 같이 이종산업에 속한 기업들까지 경쟁자로 만드는 ‘자체 고립’ 전략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은 왓챠만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MAU를 기준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모든 사업자들이 고민해야 하는 사안이에요.


오늘의 이슈를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해 보기 원하시나요? 딥서치 서비스에 가입하고,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해 보세요.
[서비스 가입하기(무료)]

모바일에서도 딥서치를 만나보세요. 기업정보, 뉴스, 공시, 특허, 증권사리포트, 인사이트 모두를 앱 하나로 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버전] [iOS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