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그룹 중간지주사이자 투자회사인 SK스퀘어 인사가 발표됐습니다. 박성하 SK C&C 대표가 진두지휘를 맡게 됐는데요. 데이터센터 화재 이슈가 발생한지 얼마되지 않아 둥지를 옮기는 만큼 어깨가 상당히 무거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SK스퀘어 주가 흐름을 봐도 마찬가지입니다. SK스퀘어 주가는 지난해 SK텔레콤으로부터 물적분할된 이후 줄 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SK스퀘어가 고전을 면치 못한 이유는 ‘복합적’이에요. 우선 가장 큰 이유를 들자면 ‘타이밍’입니다. 인적분할 당시만 해도 올해 미국이 이 정도로 과격하게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거든요.
SK스퀘어는 미래 산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종의 ‘성장주’와 같은 취급을 받은 겁니다. 실제로 원스토어, 티맵모빌리티, 11번가 등 주요 자회사들이 잇따라 기업공개(IPO)를 철회했습니다. 투자지주사인 만큼 수익원은 자회사로부터 현금흐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길이 막힌 셈이죠.
그런데 현금흐름하면 빼놓을 수 없는 자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SK하이닉스에요. 공급망 문제로 반도체 산업이 타격을 입으면서 SK하이닉스 실적도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같은 기간 SK텔레콤 주가도 힘을 쓰지 못한 건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러나 SK스퀘어 주가 하락이 더 가파르게 진행됐어요.
최근 미국으로부터 그나마 좋은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금리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것인데요. 그 전에도 나왔던 얘기이긴 하지만 직접적으로 표현한 탓에 뉴욕증시는 물론이고 우리나라 증시도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분위기 반전이 성장주들의 주가 상승을 담보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 가능성이 높아지죠.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얼마나 강한 상승 모멘텀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입니다. 아마도 원스토어, 티맵모빌리티, 11번가, SK쉴더스 등 자회사 상장 재추진이 가장 빠르고도 직접적으로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겁니다. 문제는 각 자회사들이 해당 업종에서 압도적 1위 지위를 가진 기업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렇다면 상장 이슈는 단발성에 그칠 확률이 높아지겠죠.
SK스퀘어가 롤모델로 삼은 곳은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입니다. 유기적 방식으로 ‘업계 1등 기업’을 산하에 두기 어렵다면 인수합병(M&A) 방식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SK그룹 내에서 그나마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부분은 반도체와 배터리인 만큼 이쪽 분야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즉 IPO를 통한 성장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고 장기적으로 가능할지 여부도 미지수라는 얘기입니다.
과거 SK그룹은 싸이월드, 네이트온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등 인터넷 사업과는 인연이 없었습니다. 징크스를 극복하는 것과 체질개선은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있어요. SK그룹이 지속 ‘밸류업’을 외치고 있지만 시장은 여전히 화답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 인사를 통해 SK스퀘어는 체질을 개선하고 그 기조를 그룹 전체로 확대할 수 있을까요?
딥서치 앱 설치로 딥서치 인사이트는 물론 각종 기업정보, 뉴스, 공시, 특허, 증권사리포트 등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 원하는 주제를 직접 분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딥서치 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