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딥서치 인사이트][이슈 브리핑] 비관론 쏟아내는 글로벌 IB…’역발상 투자’ 유효성은?

[딥서치 인사이트][이슈 브리핑] 비관론 쏟아내는 글로벌 IB…’역발상 투자’ 유효성은?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IB) 수장들이 잇따라 경기침체 우려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예측이지만 시장에 가까이 있으면서도 영향력이 높은 주체들인 만큼 이러한 발언들은 간과하기 어렵습니다. 일각에서는 IB들이 ‘위기’, ‘침체’ 등을 외칠 때가 바닥이라며 오히려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만약 그대로 실행했다면 올 한 해는 악몽이었을 겁니다.

현재 시장이 주목하는 부분은 향후 경기침체 여부입니다. 통상 경기는 회복, 확장, 둔화, 침체 사이클을 거치게 되는데요. 이중 침체는 상대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느껴집니다. 경기가 연착륙을 하는 경우 ‘침체’보다는 ‘둔화’로 받아들이는 경향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기가 침체된다는 것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경기종합지수 – 선행지수순환변동치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경기침체 여부는 경기종합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경기종합지수는 말 그대로 생산, 투자, 고용, 소비, 금융 등 다양한 지표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또 선행, 동행, 후행 지수로 나눠져 있어 경제의 과거, 현재, 미래 등을 분석하는 기반이 됩니다.

경기종합지수 – 동행지수순환변동치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선행지수순환변동치(계절성요인 제거)와 동행지주순환변동치를 보면 “현재는 괜찮지만 앞으로 우려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선행지수조차 사실상 후행성이 강한 지표이기 때문에 이것만 가지고 경기침체 여부를 논하기는 어렵습니다.

또 예측에 있어서 이러한 지표들이 한계를 가지는 이유가 있습니다. 모두가 경기침체를 기정사실화하면 그 확률은 분명 100%가 되는데요. 이 때, 상황을 반전 시킬 수 있는 정책이 등장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과거 지표를 단숨에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죠. 그 대표적인 사례가 2008년 금융위기 발발 직후 양적완화(QE) 실시였고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에도 QE는 그 힘을 보여줬습니다.

‘경기침체’ 키워드 기사량 추이. 출처: 딥서치

그런데 이러한 정책들이 어느 날 한 순간에 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수많은 경제 주체들이 경고하고, 자문을 구하고, 조언을 하는 등 다양한 경제 진단 속에서 점차적으로 완성됩니다. 즉, 경기침체 얘기가 많이 등장할수록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면서 침체 자체를 면할 수도 있다는 뜻이에요.

위 그래프는 ‘경기침체’ 키워드가 포함된 뉴스량 추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최근 ‘경기침체’가 언급되고 있는 뉴스량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네요. 이를 보면 “2008년 금융위기보다 약한 수준의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는 예측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경기침체 관련 뉴스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다시 역발상 투자 얘기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이 금리 인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 흐름을 반전 시킬 수 있는 요인이 아니라는 뜻이에요. 아직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정책 카드도 분명치 않습니다. 결국 경기침체 언급이 더 많아질수록 대응 방안에 대한 얘기도 본격 등장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SK텔레콤이 회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을 실시한 결과 2조원이 넘는 자금이 몰렸는데요. SK텔레콤은 최상위 신용등급인 트리플A(AAA)를 보유한 기업입니다. 안정적 현금흐름을 자랑하는 기업이 매력적인 금리를 제시하니 당연한 결과겠죠. 투자자들의 수익성 확보 기준점이 높아졌다는 뜻입니다. 그만큼 리스크가 동반된 투자는 더 많은 수익률을 요구한다는 뜻이고요. 하지만 이를 충족시켜줄 기업은 많지 않다는 것이 함정입니다. 마음의 여유를 갖고 장기전을 대비하세요.


딥서치 앱 설치로 딥서치 인사이트는 물론 각종 기업정보, 뉴스, 공시, 특허, 증권사리포트 등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 원하는 주제를 직접 분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딥서치 즐기기]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