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딥서치 인사이트][이슈 브리핑] 채권 관점에서 본 미국의 ‘적극적’ 투자 유치 이유

[딥서치 인사이트][이슈 브리핑] 채권 관점에서 본 미국의 ‘적극적’ 투자 유치 이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인플레이션 공포는 다소 누그러지는 모습입니다.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 스탠스를 예상보다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네요. 그 시점은 내년 말 정도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으니 근거 없는 전망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망들이 얼마나 논리적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현대 경제 시스템에서 인플레이션은 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확대되는 부채를 ‘실질적’으로 축소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지인에게 1000만원을 이자 0%로 빌려주고 10년 뒤에 원금을 받는다면 단연 채무자가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플레이션 발생’입니다.

Federal Debt: Total Public Debt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위 차트를 보면 미국 정부 부채(Federal Debt: Total Public Debt)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파르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더 큰 폭으로 늘었고요. 아마 지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미국 경제성장률이 눈부시다”는 소리를 들어본 적은 없을 겁니다.

Federal Debt: Total Public Debt as Percent of Gross Domestic Product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대비 부채비율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여기에 숨어 있는 것이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소위 말하는 GDP는 명목GDP를 말하는 것이고 물가를 포함한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Gross Domestic Product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또 한 가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미국이 부채를 줄인 적은 사실상 없다는 겁니다. 부채를 줄이지 않고 경제를 지탱하는 방법으로는 경제성장률 상승 혹은 (과도하지 않은)인플레이션 발생이 있습니다. 지금은 후자 비중이 높은 상황이고요.

10-Year Breakeven Inflation Rate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정확히는 성장률(인플레이션율)보다 금리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실질금리 마이너스(-)’가 전제 조건입니다. 실질금리 마이너스 폭이 클수록 인플레이션 효과가 발생하면서 부채비율 하락폭이 커지게 되는 것이죠. 최근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금리가 오르면서 그 격차가 -2%대로 좁혀졌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효과만으로 향후 미국 정부 부채비율이 이전과 같이 빠르게 축소되긴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공급망 문제를 앞세워 타국 기업들이 자국에 투자를 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지금까지 결과를 보면 비교적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고요. 향후 부채비율 관리는 인플레이션이 아닌 성장률이 담당한다는 뜻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 유치 덕에 국채 발행은 상대적으로 둔화될 겁니다. 높은 금리로 국채를 발행하면 손해이기도 하죠.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해야 하는 사안 중 하나가 중국과 사우디의 미국 국채 매도입니다. 이미 몇 년 전부터 두 나라는 미국 국채 비중을 축소하고 있었습니다. 미국과 관계도 점차 악화되고 있었던 시기이기도 하고요. ‘페트로 달러’ 덕에 중동 자본들이 여유 달러로 미국채를 사들였는데 그 기조가 흔들리기 시작한 것이죠.

앞서 언급한 ‘실질금리’가 플러스(+)라면 굳이 위험자산에 투자할 이유가 없습니다.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 펼쳐지는 겁니다. 만약 국채를 받아줄 주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미국 정부가 국채 공급을 신경 쓰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가 인플레이션 수준을 넘어서면 실질금리는 플러스(+)가 될 겁니다. 미국 경제에 최대 위협 요소가 되는 것이죠.

채권 ETF 관련 뉴스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여기까지만 보면 최근 주로 언급되는 채권 투자가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현재 높은 수준의 채권 금리와 자연성장률(2%) 목표를 고려하면 표면적으로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문제는 이전보다 악화된 글로벌 정세인데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사우디와 러시아 등 산유국들과 미국간 관계가 긴장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편, 최근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남을 가진 후 눈에 띄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사우디가 이란에 핵무기 관련 경고를 날린 것입니다. 걸프 지역 아랍국가들의 안보를 강화한다는 취지인데 이 말은 미국 지원을 배제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페트로 달러’는 미국이 사우디에 군사적 지원 대가가 포함돼 있습니다. 미국 군사지원을 포기하는 ‘페트로 위안’이 괜히 나오는 얘기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사우디 이란 관련 뉴스 – 기업 정보가 필요한 순간, 딥서치

최악의 시나리오지만 다시 중동지역에서 전쟁이 발발한다면 에너지 무기화는 더욱 강화될 겁니다. 당연히 유가는 크게 치솟을 거고요. 덩달아 금리가 폭등하면 채권은 휴지 조각이 됩니다. ‘Fed 피벗’에 취해 채권이 강세가 된다는 편향적 사고가 큰 오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모든 일련의 사건들을 정리해보면 미국이 ‘자국 투자’에 왜 그리 적극적이었는지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언제쯤 세계가 평화로워질까요?


딥서치 앱 설치로 딥서치 인사이트는 물론 각종 기업정보, 뉴스, 공시, 특허, 증권사리포트 등을 한 번에 확인하세요. 원하는 주제를 직접 분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딥서치 즐기기]

Leave a Reply